반응형 패닉셀1 서킷 브레이커: 주식시장의 강력한 제동 장치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주식시장이나 선물시장에서 주가가 급격하게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과도하게 커질 때, 시장 참여자들에게 냉정하게 투자 판단을 할 시간을 주기 위해 일시적으로 모든 매매거래를 중단하는 제도입니다.이 제도는 전기 회로의 과부하를 막기 위해 회로를 차단하는 ‘회로 차단기’에서 유래한 용어로, 주식시장에서도 과도한 충격이 시장 전체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1987년 10월 뉴욕 증시가 22.6% 폭락한 ‘블랙 먼데이’ 사태 이후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주요 증권시장에서 채택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도입되어, 시장의 급격한 변동에 대응하는 중요한 안전장치로 .. 2025. 6. 21. 이전 1 다음 반응형